가치 있는 삶

박완서 에세이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천사의 선물

  지금은 훨씬 덜해졌지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외국에 유학을 갔다 오거나 연수를 갔다 온 지식인들이 우리의 후진성을 개탄할 때마다 스는 상투어로 선진 외국에선 어쩌구저쩌구······ 하는 게 있었다. 물론 우물 안 개구리를 벗어난 넓은 세상의 이모저모에 우리들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볼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는 건 중요한 일이고, 그렇게 비춰본 우리들 모습의 초라함에 충격을 받는 것도 발전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거쳐야 할 과정이라는 걸 모르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지식인들의 그런 말투에선 자신만의 후진성이나 초라함과 무관하다는 교만한 착각 같은 게 느껴져서 아니곱게 들릴 때가 많다.


  그래서 그랬던지 내가 처음으로 유럽 여행을 하게 되었을 때 속으로 벼른 것도 많이 봐두리라는 생각보다는 아무리 좋은 걸 봐도 쇼크 안 받기와 돌아와서 밖에서 본 거  풍기지 않기였다.

  내가 한 친구에게 나의 이런 유치한 결심을 얘기했더니 그건 외국 문화에 맹목적으로 심취하는 것보다 더 나쁜 열등감이라는 핀잔을 들었다.


  막상 밖에 나간 나는 그들의 잘사는 모습에 정말 놀라지 않았다. 정말 논랄 만한 건 그들이 지니고 있는 문화유산이었지만 우리가 그 방면에 있어서 그들과 비교가 안 된다는 건 미리 알고 있었던 거고, 적어도 현재의 사는 모습에 있어서만은 우리도 세계 수준이었기 때문에 놀랄 게 없었다. 그땐 벌써 겉으로 나타난 우리의 생활수준은 어느 선진국에 비해서도 손색이 없었다. 그 무렵 한창 유행하던 '잘살아보자'는 구호는 마침내 현실로 움켜쥔 감격을 만끼하려는 듯 우리 모두가 외면치례에 급급할 때였다.


  그 후 다시 몇 년 후 일본 구경을 갔을 때는 열등감은 커녕 그들의 사는 겉모습이 우리보다 훨씬 궁상맞음을 딱하게 여겼다. GNP인가 뭔가 하는 게 우리의 몇 배라면서 왜 이렇게 못살까가 수상하기도 하고 우리처럼 화끈하게 잘살지 못하는 그들이 딱해 보이기도 했던 것이다.


  재작년에 다시 일본에 가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그쪽의 어떤 재단의 초청이어서 보고 싶은 걸 미리 신청하면 가능한 한 다 보여주겠다고 했다. 그때도 철업싱 여기저기 명승지만 열거하고 맨 나중에 심신장애자를 위한 특수학교를 보고 싶다고 신청했다. 내 가장 친한 친구가 뇌성마비 아들 때문에 얼마나 고통받고 온갖 수모를 겪어야 했는지 지켜보면서 같이 분통도 터트리고 우리 사회를 원망도 많이 했기 때문에 그 나라에선 그런 장애자를 어떻게 돌보고 있나 알고 싶었던 것이다.


  그쪽에선 나를 그런 특수학교에 안내하기 전에 내가 신청서에 써낸 시설이 중中 정도라는 단서가 무슨 뜻인지를 물었다. 나는 재단이 너무 풍부하여 호화롭게 운영하거나 너무 영세하여 궁핍하게 운영하는 시설 말고 중간 정도의 시설을보고 싶다고 했다. 그랬더니 동경도 내의 구마다 하나씩 있는 심신장애자 시설은 다 도립이기 때문에 각기 특성은 있지만 빈부나 우열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했다. 나는 좀 머쓱해져서 그럼 변두리의 어려운 동네에 위치한 학교를 보여 달라고 했다.


  학년으로는 중고교의 과정에 해당하는 장애자 교육기관인 어느 도립 양호학교에서 나는 비로소 이게 정말 잘사는 거로구나! 충격을 받았고, 감동했고, 그리고 열등감을 느꼈다. 우리의 부유층이 그들의 부유층보다 몇 배 잘살고 또 스포츠로 자주 국위를 선양하고 곧 올림픽의 개최국까지 된다는 걸 아무리 상기해도 열등감은 덜어지지 않았다.


  그들이 국민의 세금으로 풍족하게 쓰고 있는 건 우리와는 질적으로 다른 거였기 때문이다. 그 학교는 넓고 밝고 세삼하고, 어떤 종류의 장애자도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완벽하게 친절한데도 개선의 노력은 그치지 않고 있었고, 1인1기를 가르칠 전문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었고, 장애자를 고용함으로써 세제 혜택을 받고자 하는 기업체와 연결돼 있어서 졸업생의 장래까지도 책임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부모들은, 그날이 마침 자모회(한 학교 학생들의 어머니 모임) 날이었는데, 아이들을 더욱 행복하게 해줄 것을 당당하게 요구하고 있었다. 그 시설이 바로 국민 세금으로 된 거니 그럴 수 밖에.


  나를 안내해준 이는 머리가 희끗희끗한 마음씨 좋아 보이는 노인이었는데, 어찌나 명랑하고 부지런한지 안내를 하면서도 아이들하고 장난도 치고 떨어뜨린 걸 줍고 비뚤어진 걸 바로잡고 하는지라 오래 근무한 소사(관청, 회사, 학교, 가게 등에 잔심부름을 위해 고용된 사람)인 줄 알았다. 그러나 그분이 바로 교장선생님이었다.


  아이들과 함께 식당에서 맛있고 풍성한 점심을 먹고 소녀들이 직업교육을 받고 있는 재봉실을 돌아보았다. 뇌성마비 소녀가 네모난 주머니를 하나 재봉틀로 박음질하는 데 드는 남다른 노력은 눈물겹도록 처절한 것이었다.

  

 소녀는 그 각고의 대작을 선뜻 나에게 선물로 주었다. 천사 같은 얼굴이었다. 나는 내 친구 아들의 일그러지고 그늘진 '병신'다움이 떠올라 가슴이 저렸다. 우리의 정박아가 천사 갖지 못한 게 어찌 그 부모 탓만이랴. 우리 모두의, 정말 관심 있어야 할 곳에 대한 무관심, 인간다움보다는 물질적인 것에 대한, 내면보다는 외양에 대한 열광이 남은 능히 천사 같은 인간으로 가꿀 수 있는 장애자를 '병신'으로 방기한 게 아닐까.


  나는 그때 선물 받은 걸 지금도 간직하고 있고, 천사의 주머니라고 부르면서 미사포 주머니로 쓰고 있다.



박완서 에세이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반성문

자,타를 구분하는 건 '정신'이다.

링컨과 히틀러, 문재인대통령의 진정한 차이점은 머리카락 색이 아닌, 정신에 있다. 


남자로,

다리가 네 개인 사람이 있다면, 나는 그 사람의 특별함을 인정 할 것이다.

똑같이 세 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르다고, 잘났다고 떠드는 사람도 기꺼이 인정해 줄 용의가 있다.

다만, 

난 그 사람을 '정신병자'라고 인정 할 것이다.

반대 성도 마찬가지다.


모두 다 똑같다. 

우린 그냥 '호모 사피엔스'다.

주접떨지 말자.